맨위로가기

알렉산더 1세 (스코틀랜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더 1세는 1107년부터 1124년까지 스코틀랜드의 왕이었다. 그는 맬컴 3세의 아들이자 웨식스의 마가렛의 아들이었으며, 교황 알렉산데르 2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알렉산더는 형 에드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에드거의 유언에 따라 동생 데이비드에게 남부 스코틀랜드의 통치를 맡겼다. 1115년의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가혹한 면모를 보여 '맹수왕'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잉글랜드 왕 헨리 1세의 사생아 시빌과 결혼하여 잉글랜드와의 관계를 강화했으며, 기독교의 영향력을 증진하기 위해 노력했다. 1124년 스털링에서 사망했으며, 데이비드 1세가 그의 뒤를 이어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78년 출생 - 후지와라노 다다자네
    후지와라노 다다자네는 헤이안 시대 섭정, 관백을 지낸 공경으로, 섭관정치를 펼치려 했으나 원정의 영향력 아래 뜻을 이루지 못했고, 후계 문제와 호겐의 난으로 섭관가의 세력이 약화되었다.
  • 1078년 출생 - 교귀비
    교귀비는 북송 휘종의 후궁으로, 현숙황후 정씨의 시녀였으나 총애를 받아 귀비에 올랐으며, 예술적 재능이 뛰어나고 정강의 변 이후 금나라에 끌려가 고초를 겪으며 불교를 신봉하여 천불회를 설립했다.
  • 12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윌리엄 1세 (스코틀랜드)
    윌리엄 1세는 1165년부터 1214년까지 스코틀랜드를 통치한 국왕으로, 노섬브리아 백작령 회복 노력, 잉글랜드군 포로, 스코틀랜드 독립 회복, 교회 독립, 왕권 강화 등의 업적을 남기고 알렉산더 2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12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에드거 (스코틀랜드)
    에드거는 맬컴 3세의 아들이자 1097년부터 1107년까지 스코틀랜드 왕국을 통치한 왕으로, 잉글랜드의 지원을 받아 왕위를 찬탈한 후 잉글랜드에 순종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에든버러 성을 왕궁으로 사용한 최초의 왕이다.
  • 1124년 사망 - 보르지보이 2세
    브라티슬라프 2세의 아들이자 브르제티슬라프 2세의 동생인 보르지보이 2세는 브르제티슬라프 2세 사망 후 보헤미아 공작이 되었으나, 폴란드 내전 개입과 동생의 반란 등으로 혼란스러운 통치를 겪고 망명으로 생을 마감했다.
  • 1124년 사망 - 교황 갈리스토 2세
    교황 갈리스토 2세는 비엔 대주교 출신으로 서임권 투쟁을 종식시키고 교회의 권위를 회복했으며 유대인 보호 교서를 발표하는 등 사회적 약자 보호에도 힘쓴 12세기 초 교황이다.
알렉산더 1세 (스코틀랜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렉산더 1세의 인장, 19세기 강철 조각으로 강화됨
알렉산더 1세의 인장 뒷면, 19세기 강철 조각으로 강화됨
왕위알바 국왕
통치 기간1107년 1월 8일 – 1124년 4월 23일
선임자에드가르
후임자다비드 1세
배우자시빌라 오브 노르망디
자녀말콤 (사생아)
왕가던켈드 가문
아버지말 콜룸 3세
어머니마거릿 오브 웨식스
출생 장소던펌린
사망일1124년 4월 23일 (45세)
사망 장소스털링
매장 장소던펌린 수도원
이름
별칭(맹렬왕)

2. 생애

알렉산더 1세는 맬컴 3세와 웨식스의 마가렛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에드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형 에드거의 유언에 따라 스코틀랜드 중부와 북부만을 직접 통치하고, 동생 데이비드 1세에게는 남부를 맡겼다.[3]

헨리 1세의 사생아 딸인 시빌라와 결혼하여 잉글랜드와 관계를 강화했다. 알렉산더 1세의 여동생 마틸다가 이미 헨리 1세와 결혼했기 때문에, 알렉산더 1세는 헨리 1세의 처남이자 사위였다.[20][21]

1115년경, 모레이와 메언스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면서 "맹렬한"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9]

스코운과 인치콜름에 재단을 설립하는 등[10] 종교적으로도 잉글랜드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의 영향력이 강해졌다.

1124년 4월, 스털링에서 사망했으며, 왕비 시빌과의 사이에 자녀가 없어 동생 데이비드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15]

2. 1. 초기 생애

알렉산더는 맬컴 3세와 그의 아내 웨식스의 마가렛의 다섯 번째 아들이었으며, 참회왕 에드워드의 조카손자였다. 교황 알렉산데르 2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

에드거의 동생이었고, 1104년까지 (아마 그 전부터) 형의 추정 상속인이었다. 그해, 더럼에서 성 커스버트의 유해를 재매장하기 전에 유해를 검사하는 데 참석한 고위 평신도였다. 포스 북쪽과 로디언에 토지를 소유했다.[2]

2. 2. 통치

에드거가 1107년에 사망하자 알렉산더는 스코틀랜드 왕위를 계승했지만, 에드거의 유언에 따라 동생 데이비드에게는 남부 스코틀랜드 지역이 분봉령으로 주어졌다. 에드거의 유언은 데이비드에게 옛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 또는 컴브리아 지역을 부여했는데, 이는 에드거, 알렉산더, 데이비드, 그리고 그들의 매형인 잉글랜드 왕 헨리 1세 사이에 미리 합의된 내용이었다.[3] 1113년경, 헨리 1세의 사주와 앵글로-노르만 동맹의 지원을 받은 데이비드는 트위드 상류와 테비오트 강을 따라 로디언 지역의 추가 영토를 요구하여 획득했다. 데이비드는 왕의 칭호를 받지 못하고 "컴브리아 공"이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그의 영토는 알렉산더의 통치 하에 있었다.[3]

트위드데일과 테비오트데일을 둘러싼 분쟁은 알렉산더와 데이비드 사이의 관계를 악화시키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인기가 없었다. 한 게일어 시는 다음과 같이 한탄한다.

> 맬컴의 아들이 한 일은 나쁘네,
우리를 알렉산더와 분리시켰네;
그는 이전의 모든 왕의 아들처럼
알바의 안정을 약탈하네.[4]

이 분쟁은 알렉산더와 잉글랜드 왕 헨리 1세 사이의 지속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1114년, 알렉산더는 그위네드의 그루피드 압 키난에 맞서 웨일스에서 헨리 1세와 함께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5] 알렉산더는 1107년 또는 1114년에 헨리 1세의 사생아 딸인 노르망디의 시빌라와 결혼했다.[6]

윌리엄 오브 말름스버리는 시빌라를 비난했지만, 증거에 따르면 알렉산더와 시빌라는 헌신적인 부부였고 자녀는 없었으며 시빌라는 주목할 만한 신앙심을 가졌다.[7] 시빌라는 1122년 7월 케언모어 로흐 테이의 ''Eilean nam Ban''에서 알 수 없는 이유로 사망하여 던펌린 수도원에 안치되었다. 알렉산더는 재혼하지 않았으며, 월터 보워는 알렉산더가 시빌라를 기리기 위해 ''Eilean nam Ban''에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원을 세우려 했고 그녀를 숭배하려 했을 수도 있다고 기록했다.[8]

알렉산더에게는 마엘 콜룸 맥 알락산다르라는 사생아가 한 명 있었는데, 그는 1130년대에 데이비드 1세에 대한 반란에 가담했다. 그는 록스버그에 수감되었고, 1157년 이후 사망할 때까지 투옥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9]

알렉산더는 그의 형제 에드거와 데이비드처럼 독실한 왕이었다. 그는 스코운과 인치콜름에 재단을 설립했는데, 후자는 근처 폭풍에서 살아남은 것에 대한 감사로 세워졌다. 그는 어머니 웨식스의 마가렛이 묻힌 던펌린 수도원 서쪽 정문 양쪽에 두 개의 탑을 세웠다.[10]

그의 어머니의 사제이자 성인 전기 작가인 터곳은 1107년 알렉산더의 명령으로 추정되는 성 앤드루스 주교 (또는 ''Cell Rígmonaid'')로 임명되었다. 터곳의 후임자인 에드머의 사례는 알렉산더의 바람이 항상 종교계에서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아마도 에드머가 캔터베리 대주교인 랄프 데스큐어의 지지를 받았고 요크 대주교서스턴의 지지를 받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알렉산더는 또한 성 앤드루스를 후원하여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원을 위한 토지를 기증했는데, 이는 그의 아내를 기리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11]

존 오브 포든은 알렉산더에 대해 "성직자와 수도사들에게는 매우 겸손하고 친절했지만, 나머지 신하들에게는 측량할 수 없을 정도로 무서운 사람이었다."라고 평했다.[12]

알렉산더는 1124년 4월 스털링에 있는 그의 궁정에서 사망했으며, 시빌라가 사망한 후 공인된 상속자였던 동생 데이비드가 왕위를 계승했다.[15]

2. 2. 1. 모레이와 메언스에서의 반란

1115년경, 알렉산더 1세는 북부 모레이와 서부 메언스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해야 했다. 이 반란은 알렉산더 1세의 통치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19] 앤드루 오브 윈턴의 ''스코틀랜드 연대기''에 따르면, 알렉산더가 인버고리에서 궁정을 열고 있을 때 "제도 출신"의 사람들이 공격해 왔다고 한다.[13] 월터 보워는 공격자들이 모레이와 메언스 출신이라고 기록했다.

알렉산더 1세는 반란군을 북쪽으로 추격하여 로스의 "스톡포드"(보울리 근처)에서 격파했다.[13] 이 과정에서 그는 매우 가혹하고 잔인하게 반란을 진압했기 때문에 "맹렬한"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19]

얼스터 연대기에 따르면, 1116년에 "스코틀랜드 왕의 손자 도날의 아들 라드만은 모레이의 사람들에게 살해되었다"고 한다.[14] 여기서 언급된 왕은 알렉산더 1세의 아버지 맬컴 3세이며, 도날은 알렉산더 1세의 이복형제였다.

모레이는 맥베스와 룰라크 가문이 통치하던 지역으로, 이들은 강력한 신하였을 뿐만 아니라 알바 왕국을 통치하기도 했다. 당시 모레이의 모르마에르(또는 왕)가 누구였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모레이의 오엔거스 또는 그의 아버지였을 가능성이 있다. 메언스의 경우, 알려진 유일한 메언스의 모르마에르인 마엘 페테르는 1094년에 알렉산더 1세의 이복형제 던컨 2세를 살해한 바 있다.[14]

이러한 반란 진압은 알렉산더 1세의 강력한 통치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의 잔혹함을 드러내는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2. 3. 종교 정책

알렉산더 1세는 그의 형제 에드거와 데이비드처럼 특히 경건한 왕이었다. 그는 스코운과 인치콜름에 재단을 설립했는데, 후자는 근처의 폭풍에서 살아남은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설립되었다.[10] 그는 어머니 웨식스의 마가렛이 묻힌 던펌린 수도원의 서쪽 정문 양쪽에 두 개의 탑을 세웠다.[10]

그의 어머니의 사제이자 성인 전기 작가인 터곳은 1107년 알렉산더의 명령으로 추정되는 성 앤드루스 주교 (또는 ''Cell Rígmonaid'')로 임명되었다.[11] 터곳의 후임자였던 에드머의 사례는 알렉산더의 바람이 항상 종교 공동체에 의해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데, 아마도 에드머가 캔터베리 대주교인 랄프 데스큐어의 지원을 받았고 요크 대주교서스턴의 지원을 받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11] 알렉산더는 또한 성 앤드루스를 후원하여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원을 위해 의도된 토지를 기증했는데, 이는 그의 아내 시빌라를 기리기 위한 것과 동일했을 수도 있다.[11]

알렉산더 1세는 종교적인 면에서도 잉글랜드의 영향을 강화하여, 기독교의 영향력이 더욱 강해졌다. 당시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 북부의 요크 대주교의 관할 하에 있었지만, 로마 교황에게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도록 청원하고, 세인트앤드루스주교를 독자적으로 초빙하기도 했다.[22]

2. 4. 죽음과 유산

알렉산더 1세는 1124년 4월 스털링에 있는 그의 궁정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동생 데이비드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15] 알렉산더 1세는 형 에드거의 유언에 따라 스코틀랜드 중부와 북부만을 직접 통치하고, 동생 데이비드에게는 남부를 통치하게 했다.[19]

알렉산더 1세는 헨리 1세의 사생아 딸인 시빌과 결혼하여 잉글랜드와의 관계를 강화했다. 알렉산더 1세의 여동생 마틸다가 이미 헨리 1세와 결혼했기 때문에, 알렉산더 1세는 헨리 1세의 처남이자 사위였다.[20][21]

알렉산더 1세는 종교적으로도 잉글랜드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의 영향력이 강해졌다. 그는 스코운과 인치콜름에 재단을 설립했는데, 후자는 근처 폭풍에서 살아남은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였다.[10] 성 앤드루스 주교를 독자적으로 초빙하기도 했다.[22]

존 오브 포든은 알렉산더 1세에 대해 "성직자와 수도사들에게는 매우 겸손하고 친절했지만, 나머지 신하들에게는 측량할 수 없을 정도로 무서운 사람이었다"고 평가했다.[12] 1115년경 모레이와 메언스에서의 반란을 진압하면서 "맹렬한"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19]

1122년 시빌라가 로흐 테이의 ''Eilean nam Ban''에서 사망하자, 던펌린 수도원에 묻혔다. 알렉산더는 재혼하지 않았고, 월터 보워는 알렉산더가 시빌라를 기리기 위해 ''Eilean nam Ban''에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원을 계획했다고 기록했다.[8] 알렉산더에게는 마엘 콜룸 맥 알락산다르라는 사생아가 있었는데, 그는 1130년대에 데이비드 1세에 대한 반란에 연루되었다.[9]

참조

[1] 서적 Andrew of Wyntoun의 저서
[2] 서적 Barrow
[3] 서적 Oram
[4] 서적 Oram
[5] 서적 Oram
[6] 서적 Oram
[7] 서적 Duncan
[8] 서적 Oram
[9] 서적 Oram
[10] 웹사이트 History https://dunfermlinea[...]
[11] 서적 Barrow
[12] 서적 Fordun
[13] 서적 Wyntoun
[14] 서적 MacDonald
[15] 서적 Oram
[16] 서적 Saint Andrews, Brodrick
[17] 서적 森
[18] 서적 トランター
[19] 서적 森, トランター, 松村
[20] 서적 森
[21] 서적 松村
[22] 서적 森
[23] 서적 森, トランター
[24] 서적 Oram
[25] 서적 Oram
[26] 서적 Oram
[27] 서적 Duncan
[28] 서적 Oram
[29] 서적 Oram
[30] 서적 Fordun
[31] 서적 Wyntoun
[32] 서적 MacDonald
[33] 서적 Or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